본문 바로가기
인프라

[서버 생성기 2탄] SSH 원격 접속 및 서버 설정

by memeseo 2024. 11. 4.

https://solm-blog.tistory.com/58

 

[서버 생성기 1탄] Jenkins CICD 파이프라인 구축 (with Node)

회사에서 현재 개발 작업 중인 브랜치에 대한 스테이징 서버를 만들 일이 생겼다. 나중에 볼일이 생길 것 같아서 정리해 보는 .. 서버 생성기 1탄. 퍼블리셔 분과 백엔드 개발자 분과 협업 중이라

solm-blog.tistory.com

 

1탄에서는 jenkins로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원하는 서버에 빌드 파일을 배포하는 것까지 리뷰했다. 오늘은 SSH 원격 접속을 통해 서버를 설정하는 것을 리뷰하겠다. 참고로 나는 회사에서 구매한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MobaXterm을 사용했다.

 

1. 도메인 구매

나는 회사에서 사용하는 스테이징 전용 도메인이 있어서 가비아에서 서브 도메인만 설정해줬다.

 

2. SSH 접속

  • Session 클릭
  • SSH 클릭
  • 서버 정보 입력
    • Remote host : Linux 주소(도메인 혹은 IP 주소)
    • Specify username : 접속할 계정 ID
    • Port : SSH 접속 포트
    • Execute command : Session 초기 접속 시 실행할 명령어
    • User private key : 보안 키 사용 시 입력

 

3. Nginx config 파일 설정

  • nginx config 파일 위치로 이동
  • config 파일 편집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도메인 or IP";

    location / {
        root  "빌드 파일 저장 루트";
        index  index.html;
        try_files $uri $uri/ @rewrites;
    }

    location @rewrites {
        rewrite ^(.+)$ /index.html last;
    }
}

 

  • server_name : 도메인 or IP 입력
  • root : 빌드 파일 저장 루트 입력

 

위에는 HTTP 요청 설정이고 나는 SSL인증서를 통해 HTTPS 요청 설정을 했다.

server {
    listen 443 ssl http2;
    server_name "도메인 or IP";

    location / {
        root  "빌드 파일 저장 루트";
        index  index.html;
        try_files $uri $uri/ @rewrites;
    }

    location @rewrites {
        rewrite ^(.+)$ /index.html last;
    }
        ssl_certificate /home/~;
        ssl_certificate_key /~;
}

 

  • ssl_certificate : ssl 인증서 파일 루트 입력
  • ssl_certificate_key : ssl 인증서 파일 루트 입력

 

이렇게 하면 jenkins를 통해 자동 빌드 된 파일을 서버에 배포하고, nginx를 통해 설정한 도메인에서 변화된 클라이언트 화면을 볼 수 있게 하는 것까지 완료~~! 전 회사 입사 초기 때 프로토타입의 클라우드 관리 사이트를 만든 적이 있었는데 그때 배워놓은 개념들이 이번 스테이징 서버 생성할 때 많은 도움을 주었다. 그때는 무턱대고 따라 하는 게 의미가 있나 싶었는데 한 번이라도 사용해 본 경험이 아주 큰 힘이 되었다.. ^.^! 역시 배워서 남주는 건 없는 듯 .. 이번 기회로 CICD 파이프라인 구축부터 서버를 띄우는 것까지 개념적인 큰 흐름을 익힐 수 있어서 유익한 시간이었다. 마무리는 자주 사용하는 리눅스 명령어.

 

리눅스 명령어

ls : 파일과 디렉터리 나열
cd .. : 현재 디렉터리에서 한 단계 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 홈 디렉터리로 이동하는 명령어
su - : root 사용자로 전환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vi : 텍스트 파일을 편집할 때 쓰는 텍스트 편집기
esc : 명령 모드로 돌아감
:wq : 저장하고 종료
:q! : 저장하지 않고 강제 종료
i : 입력 모드로 전환